02
한국어 어문규범의 역사
평가하기
한국어어문규범
INTRO
학습내용/학습목표
선행학습
학습하기
생각해보기
평가하기
정리하기
OUTRO
정답 :
③
조선어학회의 흐름을 '한글 학회'가 이어받아 간행한 것이 「한글맞춤법통일안」이었다.
한글 맞춤법의 변천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933년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이 나와 일반사회에 보급되었다.
<한글맞춤법통일안>(1933)은 1940년에 일부 표기의 개정과 수정이 있었다.
조선어학회는 <한글맞춤법통일안>의 한글판(1948)을 간행하였는데, 개정본의 전문을 순한글로 바꾼 것이었다.
문교부 국어심의회의 심의를 거쳐서 1988년 1월 19일에 <표준어규정>과 함께 <한글맞춤법>이 고시되었다.
정답 :
②
각종 문헌 및 신문에서 외래어의 표기가 통일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광복 이전의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뉴욕(Newyork)은 '紐約', 브로드웨이(Broadway)는 '부로두웨'로 표기하였다.
각종 문헌에서는 외래어 표기의 혼재 양상이 있었으나 신문에서는 표기가 통일되어 있었다.
당시에 서구어에서 차용된 일반 외래어는 아직 우리의 국어 생활 전반에 정착되지 않았다.
하나의 지명에 대해 여러 개의 표기가 나타나 표기법의 통일이 이루어져 있지 않음을 보였다.
정답 :
④
'2000년 7월 고시, 시행된 현행 로마자 표기법과 이전 표기법과 비교할 때 가장 큰 차이는 인터넷과 정보화의 시대에 맞지 않는 반달표와 어깨점을 없앤 점이다.
로마자 표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매쿤-라이샤워 체계는 한글이 발음될 때 겪는 활음적 변화(滑音的變化:euphonicchange)를 고려하는 방법이다.
1984년 고시, 시행된 로마자 표기법은 표음주의(表音主義)를 택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2000년 7월 고시, 시행된 현행 로마자 표기법은 모음에서 장모음의 표기는 따로 하지 않는다.
2000년 7월 고시, 시행된 현행 로마자 표기법은 반달표와 어깨점을 추가한 것이 기존과 가장 다른 점이다.
3
문제 중
2
문제 맞추셨습니다.
play
학습가이드
메모장
자막끄기
MENU OFF
⁄
play
repeat
full screen
mute
06
/08
학습가이드
닫기